6·25전쟁 무공수훈자 그날의 증언
칠성소식

6·25전쟁 무공수훈자 그날의 증언

23925_29318_5412.jpg


대한민국 무공수훈자 경북 칠곡군 지회(회장 김화석·가운데) 회원들이 훈장을 달고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유무근 기자
 

6·25전쟁 당시 경북 칠곡군 다부동 전투에 참전한 향군 회원들이 2년 전만 하더라도 몇 명 생존해 있었으나, 지금은 90세를 훌쩍 넘은 고령으로 거의 작고한 실정이다. 일부 무공수훈자는 요양원이나 자택을 방문해서 만날 수 있는 길이 있지만, 찾아가도 청각장애와 언어 소통에 어려움이 있어 증언 듣기가 불투명한 실정이다. 칠곡군에는 220명의 참전 회원이 있다.

회원 21명이 있는 지천면의 경우 거동할 수 있는 회원은 10명 정도나, 정상적으로 대화할 수 있는 이는 3명이라고 한다. 거동하지 못하는 다수 회원은 요양원이나 자택에서 나라를 위해 싸운 젊음을 회상하며 여생을 보내고 있다.

한국전쟁 당시 유학산 인근 전투에 참전해 전세를 뒤집고 6사단 19연대가 평양을 거쳐 평북 원종리에서 100km 거리인 신의주까지 진격한 회원도 있다.

'대한민국 武功수훈자 경북지부 칠곡군지회' 김화석(88) 지회장 등 여섯 분의 당시 증언을 들어본다.


무공수훈자 경북 칠곡군 지회 회원들, 왼쪽에서부터 박경석(91), 배석문(88), 김화석(88・지부장), 오종환(91), 신봉윤(94) 씨.  유무근 기자
 

김 지회장은 "유학산과 멀지 않은 영천군 신녕면 갑티재 전투에 참전했다. 한국전쟁이 발발한 7월 25일 입대하였으나, 아직 전선에는 총도 지급되지 않은 상태였다. 수류탄 10발씩만 지급받을 정도로 물자 보급이 원활하지 못했다. 개소리만 들려도 수류탄을 투척했다. 중요한 요충지라 이승만 대통령도 신녕역에 하차하여 '우리는 뭉쳐야 한다'는 메시지로 눈물을 훔치는 모습을 측근에서 보았다. 이후 전세가 더욱 악화하여 융단폭격이 감행되었다."라고 증언했다.

신봉윤(94) 씨는 "1사단(사단장 백선엽 장군) 12연대에 소속되어 있었다. 사선에 엎드린 옆 전우가 엄마를 찾으며 비명에 죽었다. '잘해라'고 격려해주던 형 같은 선임도 죽어 있었다. 유학산은 생각조차 하기 싫은 악몽이었다. 전쟁 때에는 융단폭격이 있었는지도 몰랐고, 융단폭격 직후 38선 동부전선 포병부대에 배치되었다. 입대 동기 등 가까이 지내던 전우들이 눈앞에서 일어나, 목숨이 두렵지 않은 증오심에 불탔던 전투를 했다"라고 회상한다.

오종환(91) 씨는 "6・25전쟁 직후 입대하여 1사단 12연대 수색대에 배치받았다. 제대 후 알고 보니 1사단(사단장 백선엽 장군)에 신봉윤 형님과 같은 사단에 있었다. 칠곡 다부동 전투 때, 조금 전까지만 해도 같이 싸웠던 전우가 적군의 실탄에 나뒹굴어지고, 피를 토하며 누군가를 부르며 죽어가는 현장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방아쇠를 눈감고도 당겼다. 강원도 영월 전투에서 부상당해서 후송되었고, 경기도 연천 전투에서 또다시 부상당하여 18육군병원으로 후송되기를 반복하였다. 제대 만기 몇 달 남겨두고 상이군인(傷痍軍人)으로 제대하였다."라고 증언했다.

배석문(88)씨는 "칠곡군 유학산 인근에 다부동 전투 방위대에 배치되었다. 그 와중에도 물자보급 비리가 왕성하여 대대장급들이 영창에 들어가는 모습을 보았다. 융단폭격 후 북진 대열에 끼었다. 발바닥에 콩 물집이 터져 쓰라린 통증을 참으며 행군하는 도중에 끼니 공급조차 원활하지 못하여 허기와 갈증을 겪었다. 군화를 벗어놓고 물 한 바가지 마시는 것이 간절한 소망이었다. 평안북도 개천의 민가 외양간 축사에서 허기를 채우고 희생된 가축에게 명복을 빌어줄 겨를도 없이 또 행군이었다. 기억에 남는 것은 배고픔과 끝없는 행군, 부르터진 발바닥 콩물집뿐이다."라고 말했다.


칠곡군 보훈회관은 2020년 안에 왜관교 오거리 새청사로 이전할 예정이다. 유무근기자
박경석(91・약목 분회 총무) 씨는 "6・25전쟁 직후 학도병으로 영천 7사단 8연대에 입대해 있다가 북진 때 평양서 머무른 적이 있었다. 함흥으로 진격할 때 중공군이 개입했다는 소문으로 원산까지 내려왔으나, 피난민 행렬로 발붙일 틈이 없었다. 다시 제천으로 내려오다가 중공군에 체포되어 1년 8개월 간 포로 생활을 했다. 당시 대동강의 대홍수로 혼란한 틈을 타서 선배 4명과 함께 극적으로 탈출하여 40여 일 동안 산중에 은둔하면서 나무껍질 생식으로 살았다."라고 증언했다.

그는 이어서 "대구 보충대 생활 중 소속 대대장을 피살 직전에 구출해 주기도 했다. 대대장의 이마에 총구를 겨누는 인민군 상사를 내가 뒤에서 사살한 것이다. 대대장은 앞으로 뛰쳐나가고 나는 뒤로 빠져나왔다. 도망쳐 달아나다가 고관절 다리뼈 함몰로 부상을 입고 지금까지 상이 장애인으로 지낸다. 당시에는 전사자가 많아 기강이 해이해지고 집으로 도망간 전우도 많았다. 이들은 아군의 경계망 밖에서 적에게 쉽게 노출되어 거의 전사했다."라고 회상했다.

종전 5년 후인 1958년, 50사단으로부터 유골 봉송 통지서를 받은 수백 명의 가족들이 왜관 순심중학교 교정에서 유골을 봉송해 갔으나, 전사자 유골의 DNA도 확인하지 않은 채 살아 있는 생존자의 이름으로 발송하여, 유골함을 받은 제대 장병들은 자신의 유골이 아니라며 낙동강에 던져 버리기도 했다고 한다. 당시 낙동강에서는 유족들의 꽃송이 헌화가 많았다.

지천면 6・25 참전 전우회 총무인 장정기(90) 씨는 "유학산 전투가 치열했던 7월 하순, 당시 스무 살로 동네 마을을 배회하던 중 총을 든 군인의 부름에 주눅 들어 1사단(사단장 백선기) 12연대 임시 부대에서 민간인 사역으로 고역을 치렀다. 짐이라도 짊어질 수 있는 남성이면 불러 강제 도우미로 활용했었다. 우리 동네에서 산 하나 넘어, 멀지 않은 303고지 '쑥더미’ 임시 진지에서 실탄, 포탄, 쌀가마 나르는 임무가 주어졌었다. 취사반에서 밥도 해서 날랐다. 애국도 좋지만 죽을 맛이었다."고 회상했다.

그는 "부대의 후퇴 명령으로 어느새 군인들이 사라져 버렸을 때는 귀띔도 해 주지 않은 군인들이 야속하기도 했다. 집으로 가는 도중 백운동 질부마을에서 임시부대 군인들에게 다시 붙잡혀 7일 동안 노역했다. 내가 가져다준 무기로 전투가 치러졌다. 솔직히 가족들 걱정에 달아날 궁리만 했다. 세 번째 또 붙들려 칠곡초등학교 진지부대까지 왔다. 당시 적들은 이미 낙동강을 넘어 팔달교 입구까지 포진하고 있었다. 이듬해 정식 입대하여 미군 부대 진지에서 복무했다."라고 말했다.

김화석(88) 지부장은 6・25전쟁 수훈자로서, 국립영천 호국원 ’대첩 비 무공 전적비‘에 명단이 등재되어 있다. 그는 "피란민 피해자 가족에게는 송구하나, 융단폭격 작전은 한국 국운이 걸린 최후의 결단으로 승리의 주역이었다. 만약 융단폭격이 없었다면 오늘날의 대한민국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칠곡군청 게양대에는 인공기가 펄럭거렸을 것이다."라며 거듭 강조한다.

출처 : 시니어매일(http://www.seniormaeil.com) 

Comments

번호 포토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93 6·25 전사자 김문권 하사 유해, 72년 만에 가족 품으로 댓글+2 김창민1006세종 10.29 71
1092 육군7사단,드론 페스티벌 댓글+2 김창민1006세종 10.16 179
1091 화천군, 민관군 칠성페스티벌 개최 댓글+3 김창민1006세종 10.15 263
1090 이재명대통령의 7사단 방문 댓글+6 최봉준8503경남 09.12 579
1089 청주시,호국에 빛나는 이름들 다시 기리다 댓글+1 김창민1006세종 09.10 534
1088 독수리여단 훈련 댓글+2 김창민1006세종 09.08 394
1087 병영의 달인 댓글+2 김창민1006세종 09.08 359
1086 칠성부대 수색소초 댓글+2 김창민1006세종 09.08 371
1085 정전협정 당일 전사한 6.25참전용사 72년만에 외동딸품에 댓글+2 김창민1006세종 09.03 654
1084 달성군,6.25 참전용사 유족에 화랑무공훈장공 전수 댓글+1 김창민1006세종 09.02 451
1083 한국피엠지, 최전방 칠성부대 위문행사 댓글+1 김창민1006세종 09.02 655
1082 배드민턴대회 관람중 쓰러진 응급환자 구한 부사관 화제 손은석9705서울 08.13 680
1081 구세군에서 기부 영수증이 왔습니다... 댓글+4 최장옥9710서울 07.24 634
1080 철책선 옆 행군, "발끝마다 긴장 맺혀" 칠성 07.30 764
1079 정전협정 이틀 전 전사한 호국영웅, 72년 만에 외동딸 품으로 댓글+1 칠성 07.30 905
1078 칠성부대 수색소초 댓글+5 김창민1006세종 07.21 727
1077 2002년 칠성 GOP 댓글+6 김창민1006세종 07.17 747
1076 우미그룹 창업자 이광래 회장 별세 댓글+1 칠성 07.17 947
1075 골든차일드 출신 배승민, 29일 입대…육군 현역으로 복무 댓글+4 칠성 07.17 853
1074 화천 7사단 신은성 병장 몰카범 검거 공로 댓글+2 칠성 07.17 860
1073 군선교회 경북지회 군인교회 헌당식 칠성 07.09 727
1072 정전협정 이틀 전 전사한 故 김석오 하사, 72년 만에 가족 품으로 댓글+3 칠성 07.09 965
1071 독수리연대 박격포사격 김창민1006세종 07.07 563
1070 신나군 수색대 댓글+1 김창민1006세종 07.07 576
1069 추억의 102보충대 영상입니다 댓글+3 김창민1006세종 07.07 737
1068 유튜브 GOP생활 김창민1006세종 07.07 598
1067 유튜브 GOP 소대장하루 김창민1006세종 07.07 616
1066 유튜브에 칠성포병 나왔습니다 댓글+6 김창민1006세종 07.06 619
1065 NH농협금융지주, 육군 제7사단 장병 격려 댓글+1 칠성 07.03 772
1064 산업은행, 육군 제7보병사단에 위문금 2천만원 전달…자매결연 12년째 댓글+1 칠성 07.03 961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387 명
  • 오늘 방문자 13,190 명
  • 어제 방문자 12,244 명
  • 최대 방문자 23,420 명
  • 전체 방문자 3,933,070 명
  • 전체 게시물 41,662 개
  • 전체 댓글수 62,869 개
  • 전체 회원수 3,327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광고 / ad
    Previous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