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특사, 6·25전쟁 전사자 발굴유해 영결식
포특사, 6·25전쟁 전사자 발굴유해 영결식5월 15일부터 7월 7일까지 약 8주간 유해발굴작전 실시, 부분유해 1구ㆍ유품 489점 발굴
낙동강 방어선 전투의 마지막 전투인 기계-안강 전투가 벌어진 어래산 일대서 실시
6ㆍ25전쟁 참전용사 후손 원찬 일병 ‘할아버지의 전우를 찾을 수 있어 영광’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이하 포특사)는 14일 도솔관 일원에서 ‘2023년 6∙25전쟁 전사자 발굴유해 영결식’을 거행했다고 밝혔다.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는 14일 도솔관 일원에서 ‘2023년 6ㆍ25전쟁 전사자 발굴유해 영결식’을 거행하고 있다.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 제공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는 14일 도솔관 일원에서 ‘2023년 6ㆍ25전쟁 전사자 발굴유해 영결식’을 거행하고 있다.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 제공이번 유해발굴작전은 5월 15일부터 7월 7일까지 약 8주간 포항시 북구 기계면 어래산 142고지 일대에서 진행됐다. 부대는 일일 128명의 병력을 투입한 결과 부분유해 1구, 유품 489점을 발굴한 성과를 거뒀다.
포항시 기계면 어래산 142고지 일대는 6∙25전쟁 당시 낙동강 방어선 전투의 마지막 방어전인 기계-안강 방어 전투가 있었던 지역으로 약 한 달간 치열한 전투 끝에 수많은 전사자가 발생한 곳이다.
이날 영결식은 개식사, 유해발굴 경과보고, 추모사 낭독, 종교의식, 헌화 및 분향, 묵념 및 조총발사, 호국영령께 대한 경례, 유해 운구 및 봉송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관 임성근 소장은 추모사에서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에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삶은 호국영령들의 숭고한 희생의 결과다”라며 “국가방위의 사명을 완수하고 이 땅의 자유민주주의를 반드시 지켜낼 것을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이번 작전에 참가한 장병 중 6∙25전쟁 참전용사의 후손인 포병여단 원찬 일병은 “이번 작전을 통해 6∙25전쟁에서 희생하신 할아버지의 전우를 찾을 수 있는 뜻깊은 기회를 갖게 돼 영광이었다”며 “할아버지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이어받아 자랑스러운 해병으로서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소감을 밝혔다.
한편 포특사는 2004년부터 현재까지 약 20년간 유해발굴작전을 지속 실시해오며, 호국영령이 최고의 예우 속에 유가족의 품에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포특사는 지난해에도 같은 지역에서 10월 4일부터 11월 4일까지 약 5주간 유해발굴작전을 실시해 완전유해 1구, 부분유해 7구, 유품 493점을 발굴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