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혈맹 터키… 잊지않겠습니다” 용인서 터키군 6·25참전 67주년 기념행사
칠성소식

“영원한 혈맹 터키… 잊지않겠습니다” 용인서 터키군 6·25참전 67주년 기념행사

 

▲ ‘터키군 참전 67주년 기념행사’가 열린 18일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 터키군 참전기념비에서 아이슬란 하칸 옥찰 주한터키 대사가 헌화하며 한국전쟁 참전 터키군을 추모하고 있다. 이날 행사는 옥찰 대사와 강창구 육군 제55보병사단장, 정찬민 용인시장을 비롯해 양국 군 장병과 참전용사들이 참석했다. 오승현기자
▲ ‘터키군 참전 67주년 기념행사’가 열린 18일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 터키군 참전기념비에서 아이슬란 하칸 옥찰 주한터키 대사가 헌화하며 한국전쟁 참전 터키군을 추모하고 있다. 이날 행사는 옥찰 대사와 강창구 육군 제55보병사단장, 정찬민 용인시장을 비롯해 양국 군 장병과 참전용사들이 참석했다. 오승현기자
“6ㆍ25전쟁에서 한국을 도와준 터키군 덕분에 지금의 우리가 존재할 수 있는 겁니다”

지난 1950년 6ㆍ25전쟁 발발 당시 열여덟의 나이에 소년병으로 전쟁에 참가했던 6ㆍ25 참전용사 유오희옹(85)은 “터키군이 우리를 도와준 덕에 나라를 지킬 수 있었다”고 과거를 회상했다. 당시 강원도 양구에서 7사단 소속으로 참전했던 유옹은 “전쟁 도중 전선에서 터키군의 활약상을 전해 들으며 우리 국군도 사기를 북돋울 수 있었다”고 말했다.

터키군은 1950~1953년 4차례에 걸쳐 2만2천6명을 6ㆍ25전쟁에 파병했다. 이때 파병된 터키군 가운데 3천여 명이 전사하고 163명이 실종됐다.

이 가운데 전세에 큰 영향을 끼친 전투 가운데 하나가 용인에서 벌어졌다. 현재의 처인구 김량장동 일대에서 벌어진 ‘김량장 전투’다. 전쟁이 한창이던 지난 1951년 터키 여단은 중공군에 대한 UN군의 반격작전이었던 ‘선더볼트작전’의 하나로 김량장동 151고지(현재 용인초교 일원)에 투입됐다. 

당시 터키군은 북한군과 중국군 등이 밀집해있던 고지에서 치열한 백병전을 펼치며 용맹을 떨쳤다. 이 전투로 터키여단에서는 12명의 전사자가 나왔지만 중국군은 1천900여 명이 사망했다.

▲ ‘터키군 참전 67주년 기념행사’가 열린 18일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 터키군 참전기념비에서 아이슬란 하칸 옥찰 주한 터키대사와 강창구 육군 제55보병사단장, 정찬민 용인시장을 비롯한 내빈과 참전용사 등 참석자들이 양국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오승현기자
▲ ‘터키군 참전 67주년 기념행사’가 열린 18일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 터키군 참전기념비에서 아이슬란 하칸 옥찰 주한 터키대사와 강창구 육군 제55보병사단장, 정찬민 용인시장을 비롯한 내빈과 참전용사 등 참석자들이 양국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오승현기자
18일 오전 11시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 터키군 참전 기념비 앞에선 이처럼 우리나라를 도와 용감하게 싸웠던 터키군 전사자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터키군 참전 67주년 기념행사’가 열렸다. 주한 터키 대사관이 주관하고 육군 제55사단이 주최한 이번 기념행사에는 국군 관계자와 터키군 관계자, 6ㆍ25 참전용사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호국영령에 대한 묵념과 함께 엄숙한 분위기 속에 시작된 행사에서 강창구 55사단장, 아스슬란 하칸 옥찰 주한 터키대사, 정찬민 용인시장 등은 기념탑 앞에 헌화하고 터키군 전사자들에 대한 예우를 갖췄다. 이와 함께 당시의 치열했던 전쟁 상황에 대한 전투약사 보고도 진행됐다.

 

아스슬란 하칸 옥찰 주한 터키대사는 기념사를 통해 “용인에 세워진 터키군 참전 기념비는 당시 장렬하게 전사한 군인들에 대한 존경의 표현”이라며 “터키군 전사자들을 위해 엄숙한 기념식을 준비해주셔서 감사드리며, 지금까지 이어진 양국 간의 우정이 변치 않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강창구 55사단장은 “앞으로도 형제의 나라 터키의 참전을 기념하고 그들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한 활동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용인=송승윤기자

<저작권자 ⓒ 경기일보 (http://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s

번호 포토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11 강원 토요일 오전 50명 확진…춘천·원주 두 자릿수 댓글+3 칠성 2021.12.08 2308
810 황중곤·이상희 등 총 5명, 군 전역 후 2022 시즌 KPGA 코리안투어 복귀 칠성 2021.12.08 2301
809 '강원 하루새 역대 최다 경신' 어제 144명 확진…이틀째 세 자릿수 칠성 2021.12.08 2204
808 ​금융권, 연말 맞아 나눔 활동 활발…학생에게 장학금·모범장병에 후원금 칠성 2021.12.02 2357
807 "스타와 함께 혹한기훈련 해보고 싶어요"…장병 설문조사 댓글+2 칠성 2021.12.02 2225
806 고이 잠드소서 댓글+1 칠성 2021.11.24 2482
805 최전방 장병들도 수능 도전…응원 미담도 '훈훈' 칠성 2021.11.24 2322
804 반기는 후배들을 격려하는 전우애와 선배의 여유를 보여준 낭중지추(囊中之錐 댓글+1 칠성 2021.11.17 2972
803 영상판독 전문의 부족한 軍…AI가 장병 진단 돕는다 댓글+2 칠성 2021.11.02 2542
802 화천군 군납 농가 "군 급식 경쟁입찰 철회하라" 댓글+1 칠성 2021.10.26 2313
801 [산하의 오역] 1953. 7 .27 6.25의 처음과 끝, 7사단 칠성 2021.10.25 2152
800 육군 2군단! 특수부대 아저씨도 못 견딘 최악의 위치! 통일의 선봉 위풍당당 쌍용군단 7사단 15사단 27사… 손은석9705서울 2021.10.20 3224
799 군장병 국민지원금 접경지역 상경기 한몫하나…기대감 물거품 댓글+3 칠성 2021.09.22 2402
798 육군 이규호 중사, 신속한 조치로 50대 여성 생명 구해 댓글+3 칠성 2021.09.22 2772
797 추석 앞두고 북한강 뛰어든 여성, 육군 부사관 달려가 구해 칠성 2021.09.22 2585
796 한미, 6·25전쟁 '백석산 전투' 일대서 전사자 유해 공동 발굴 칠성 2021.09.07 2659
795 6·25 영천전투 9일간의 현장 발자취 댓글+3 민경철8811충북 2021.09.04 2926
794 부평구, 한국전쟁 참전유공자 화랑무공 훈장 전달 칠성 2021.08.24 2338
793 강원 화천서 육군 25인승 버스 전봇대 들이받아 장병 8명 중경상 댓글+1 칠성 2021.08.18 2757
792 구순 앞둔 6.25 국가유공자 곽훈섭씨 칠성 2021.08.18 2617
791 1유해2분묘 유족 1군단 배상심의회에 배상 신청 칠성 2021.08.04 2353
790 봉오리에서 화천읍 거쳐 풍산리까지 26㎞ 종주…소대장 근무 당시 군 생활 회고하며 미사도 참석 댓글+12 칠성 2021.07.20 3561
789 손가락을 보지 말고 달을 보자 칠성 2021.07.20 2710
788 "짐 보관에 제2 인생 던졌다" 김정호 더함에스피 대표 칠성 2021.07.20 2807
787 참전용사 1유해2분묘 문제 관련 7사단 해결 나선다 칠성 2021.07.13 2544
786 문경시, 故김용배 장군의 고귀한 희생정신 기리다! 댓글+1 칠성 2021.07.07 2740
785 '백신 접종후 전투휴무' 국방부 지침, 일부 부대서 불이행 칠성 2021.07.07 3259
784 사관학교 생도는 6.25전쟁 때 무엇을 했을까? 손은석9705서울 2021.07.01 2826
783 '미군 전투화' 신은 채 숨진 무명 용사... 아직 13만명이 못 돌아왔다 댓글+2 칠성 2021.06.29 2961
782 강원 강릉고 학생회, 정경화 소령, 김성수 열사 추모행사 열어 칠성 2021.06.29 3226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219 명
  • 오늘 방문자 1,922 명
  • 어제 방문자 1,765 명
  • 최대 방문자 10,850 명
  • 전체 방문자 3,123,699 명
  • 전체 게시물 100,588 개
  • 전체 댓글수 62,084 개
  • 전체 회원수 3,276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광고 / ad
    Previous Next